수확의 계절 가을을 맞아 찾아오는 우리 고유명절 추석!
햇곡식에 햇과일 등이 풍성한 한가위는 옛날 배곯던 시절에도
두둑하니 쌀밥을 기대할 수 있는 기쁜 명절이었답니다.
이런 명절에야 배부를만큼 넉넉한 음식을 접할 수 있었고
어려운 형편에도 조상을 기리는 마음에 정성을 다한 차례상을 차리고
찾아온 손님들에게도 정갈한 음식을 대접하는 기쁜 날이었을 것입니다.
그만큼 주부들의 일도 끝이 없이 이어지는 것이 명절 풍경 중 하나였죠.
남자들은 다 차려놓은 제기를 상에 올리고 절만 하면 끝났지만
주부들은 그 치다꺼리를 하느라 허리 펼 시간도 없었을 것입니다.
한 조사를 보면 기혼여성의 87%가 추석 때 집안일을 도맡았다고 합니다.
장보기부터 요리, 상차림, 청소, 설거지까지 일복이 터지는 날인 셈이죠.
틈틈이 아이를 돌보는 것도 엄마들의 몫입니다.
무거운 짐이나마 남편이 들어주고 생률을 까주는 정도가
아직도 남성들이 하는 가사일 최대치인 집이 수두룩 하지요.
추석에 주부들은 슈퍼우먼이 되기를 요구받고
그 여파로 명절이 끝나면 후유증에 시달리기 쉽습니다.
지난해 한국건강관리협회 조사에 따르면 국내 20~60대 여성 10명 중 6명은
명절증후군을 겪고 있었습니다.
즐거운 추석 명절이 일상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만큼
집안일에도 건강을 챙기는 요령이 절실히 필요하겠습니다.
차례상을 차리려면 아무리 간소하게 한다 하더라도
장을 보면 들기 힘들 정도로 장바구니가 무겁기 쉽습니다.
이때 짐을 나누어 들지 않고 무리하게 무거운 짐을 들다 담 걸리는 경우가 많지요.
담은 근육통을 뜻하는데, 의학적으로 근막동통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근육을 과도하게 쓰거나,
장시간 근육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면 쉽게 찾아올 수 있습니다.
주로 목이 뻐근하면서 뒤통수가 당기는 증세가 나타나죠.
어깨나 등이 뭉쳐서 쑤시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어깨 질환이나 목 디스크로 오인할 때도 있습니다.
통증이 만성화되면 치료해야 하지만,
가벼우면 휴식과 스트레칭, 마사지, 냉온욕 등으로 조절이 가능합니다.
짧은 휴식은 근육 이완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너무 지나치게 오래 잠을 자거나 누운 자세로 있는 경우는
통증 주변의 근육을 경직시켜서 오히려 통증에 더 민감해질 수 있다고 하니
쉰다는 명목으로 누워만 있는 것도 좋은 해결책은 아닌 것 같습니다.
명절 집안일은 장을 본 뒤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대부분 거실에 쪼그려 앉아 쉴 틈 없이 음식을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인 자세지요.
등을 구부리고 바닥에 앉으면 체중의 2~3배가 넘는 하중을 허리에 주게 됩니다.
바닥에 무릎을 꿇거나 다리를 구부리고 앉은 채 전을 부치면
무릎관절에 무리가 올 수 있습니다.
폐경기에 접어든 40~50대 주부들은 무릎통증이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지요.
이것은 뼈와 척추주변 조직이 약해져있기 때문입니다.
허리 부담을 줄이려면 식탁에 앉아 음식을 준비해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에 앉을 경우 벽에 등을 기대서 허리의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방석을 높이 쌓아두고 앉거나, 다리를 펴고 옆으로 벌린 상태에서
다리 사이에 일감을 놓고 작업하는 것도 관절손상을 예방하는 방법이라 하겠습니다.
청소를 할 때에도 서서 긴 청소대나 대걸레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명절이 지나도 통증이 계속되는 것은 단순한 근육통이 아닌
연골판 손상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고 하니
명절이 끝나고도 오랜 시간 근육통이 사라지지 않을 경우
제대로 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온종일 음식준비와 설거지를 하다 보면
손에 물이 마를 틈이 없습니다.
그러다 보면 혈액순환과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못해서
손발이 차가워지는 수족냉증이 생길 수 있답니다.
물이 마르면서 땀과 수분을 빼앗아 피부가 건조하고
가려운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지요.
환절기인 추석에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위해 수시로 손발을 마사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피부건조증을 막으려면 핸드크림을 꾸준히 발라줘야 합니다.
당귀나 말린 천궁뿌리, 유자, 마른 쑥을 넣어 온욕을 하면 냉증 개선에 도움이 된답니다.
자주 목욕하기 힘들면 손발을 매일 뜨거운 물에 담그는 것도
원활한 혈액순환에 좋겠습니다.
집안에 많은 손님들이 모여 북적북적하면
계속해서 상을 차려내는 것만으로도 쉴 사이가 없습니다.
이러다 보면 억지로 생리현상을 참을 때도 있지요.
이러면 대뇌의 배변 조절 기능에 이상이 생겨 변비가 찾아올 수 있습니다.
과도한 집안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경계와 소화계가 예민해지는 주부들도 적지 않습니다.
스트레스는 혈액순환을 방해해 생리불순의 원인이 되기도 하죠.
생리통이 심해지면 복부와 허리에도 통증이 동반되는데,
이럴 때에는 짬짬이 규칙적인 스트레칭과 걷기로 신체리듬을 회복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벼운 걷기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척추근육을 풀어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걸으면서 햇볕을 쬐면 행복호르몬으로 불리는 세로토닌의 혈중 농도가 높아져
우울감과 무기력증을 이기는 데 도움이 된답니다.
'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지정맥류 주부들이 주의해야 할 추석 음식과 명절 후 관리법 (0) | 2015.09.30 |
---|---|
피부건강 지켜주는 착한 음식 BEST4 (0) | 2015.09.25 |
편안하게 잠오는 음식 9가지 (0) | 2015.09.21 |
과식하기 쉬운 가을 소화력을 높여주는 식품 6가지 (0) | 2015.09.16 |
환절기 목관리 4가지 (0) | 201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