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이야기

수포자

 

EMB000007b82d0d

 

학창시절 수학을 비교적 좋아했던 저에게도

수학은 결코 즐거운 학문은 아니었습니다.

문과쪽을 전공한 마나님은 아이들의 수학 공부를 접하면서

요즘 푸념 아닌 푸념이 늘었습니다.

 

이제 초등학생인 아이들이 왜 중학 수학을 선행해야 하는지

당췌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죠.

요즘 입시환경 아래에서 수학 선행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 버렸습니다.

도대체 학교에서 배워야 할 수학을 학원에 오히려 의존하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요?

 

전문가들은 배워야 할 수학의 양이 너무 많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공부량이 많다 보니 이해하는 과목이라는 수학에 대해

정작 이해할 수 있는 자세한 과정에 대한 부분은 생략하고

그저 문제만을 반복해서 풀기 바쁘다는 것입니다.

솔직히 이공계 계열을 전공하지 않는 이상

수학이라는 학문처럼 아무짝에도 쓸데없으면서

속 썩이는 과목도 없을 것입니다.

도대체 함수가 무엇이고 라는 것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 없이 그저 수식을 외우고

문제에 대입하기 바쁜 것이 실제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 수업이라니

아이들이 지겨워하는 것도 이해가 되는 것이지요.

수학을 못하면 국문과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왜 모두 수학에 목을 메어야 하는 걸까요?

수학은 공부의 근력을 길러준다는 말이 있습니다.

여기서의 근력은 ‘근원을 알게 하는 힘’을 말하는데,

수학은 이해할 수 없던 다른 대상의 원인을 알고자 하는

사고의 힘을 길러주는 학문이라는 것이죠.

수학문제를 풀면서 사고의 폭을 넓혀가는 것이 수학을 하는 목적인 셈입니다.

이런 것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그것을 학생들과 나눌 시간이

선생님들은 없다고 말합니다.

모르는 부분에 대해 자세히 알려줄 시간도

수업시간 중에 낸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시죠.

 

왜요?

진도를 나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배워야 할 양도 많고 점점 어려워 지는 것이 현실이랍니다.

초등학생인 아이의 수학 교과서를 들여다 봤다가 놀랐던 것이 생각나는군요.

제가 중학교 때 배웠던 것을 아이가 배우고 있었습니다.

잘은 모르지만 공부라는 것은 하고 싶어야 하게 되는 것이지

결코 억지로 하게 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수학에 흥미가 생기고 어떤 과정을 이해하고 알아가는 과정에

흥미를 느끼게끔 해주는 것이 중요한 것이지

그저 기계적으로 문제를 계속 풀어대서 점수를 잘 받기 위한 것이

공부일까요?

 

정말 알 수 없습니다.

 

수학 교과서를 바꾸는 것에 대해 수학계가 반대해서

힘들다는 얘기가 있더군요.

도대체 누구를 위한 수학인가 생각해 보게 됩니다.

그쪽 분야에 있는 분들의 밥그릇을 윤택하게 해주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면

좀 더 즐거운 수학을 아이들이 할 수 있도록

오히려 그런 분들의 노력이 보태졌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0부터 1사이의 숫자 크기나 모든 수의 크기가 같다는 말을 듣고

정말 신기하면서도 이해가 되지 않아 고개를 갸웃거렸던 기억이 나네요.

이런 식으로 함께 생각해보고 반론도 해보면서

사고의 근력을 키워가는 것이 진정한 수학의 의미가 아닐까 생각해 봤습니다.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념무상 명절 고속도로 백태  (0) 2015.09.30
장보기 전쟁  (0) 2015.09.30
상식적으로 납득되지 않는 한우가격  (0) 2015.09.25
자존감 챙기기  (0) 2015.09.24
블랙 컨슈머  (0) 2015.09.24